상세 컨텐츠

본문 제목

오토 운전자들이 놓치는 오토상식

유용한 정보

by nori777 2012. 2. 19. 17:52

본문

오토 운전자들이 놓치는 오토상식


① P : 장시간 주차할 때 사용되며 특히 경사로가 있는 내리막길 주차 시
         절대필수!
② R : 후진할 때만 사용한다.
③ N : 기어가 들어가 있지 않은 중립상태이며 평탄한 도로 위에 주차할 때
         사용한다. (ex: 아파트, 주차장의 주차구역 외 주차 시 사용)
④ D : 평상시 주행할 때 사용되며 속도와 엑셀레이터 페달의 밟는 정도에
         따라 자동으로 변속이 이루어 진다.
⑤ 3 : 최고 3단까지만 변속이 이루어지며 경사로 내리막길 엔진브레이크
         대처용으로 사용한다.
⑥ 2 : 최고 2단 변속까지만 이루어지며 3단 보다는 더욱 경사진 오르막길
         또는 경사로가 심한 내리막길 운행 시 엔진브레이크 힘을 필요로
         할 때 사용한다.
⑦ 1 : 최고 1단 변속까지만 이루어지며 웅덩이와 같은 진흙길 통과 시
         또는 강한 힘을 필요로 하는 언덕길을 오를 때 사용한다.

 

HOLD, POWER, 킥다운, 알고 계셨나요?


HOLD(현대/기아/대우),SNOW(삼성/쌍용) : 미끄러지지 않고 부드럽게 눈길을 출발할 수 있도록 보조해주는 버튼. 겨울철 노면이 눈으로 쌓여 있을 때, 출발 시 타이어의 슬립을 방지하여 미끄러지지 않고 부드럽게 스타트 할 수 있도록 보조해주는 장치로 기어 변속기는 1단 출발이 아닌 2단 출발로 이뤄집니다.

Test 방법) 경사로가 있는 도로 위에서 차량을 정차 후 HOLD버튼을 누른 후 출발 하려 하면, 평상시와 다르게 출발이 느리거나 힘이 없음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. (2단 출발이 이뤄지기 때문)


POWER : 주행 중 앞 차량을 추월하거나 오르막길 주행 시 필요한 경우에 사용됩니다. 엑셀레이터 페달로 조절하지 않고 POWER버튼을 누르면 변속은 한 단계 내려 가면서 RPM은 상승하게 되며 일정한 속도가 붙게 되면 자연스럽게 정상 RPM으로 돌아 오면서 운행하게 됩니다. 킥다운 기능과 유사하지만 RPM 상승에 차이가 있습니다.


킥다운 : POWER 스위치와 같은 조건이지만 엑셀레이터 페달을 통해 조작이 이뤄진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으며 고속도로 진입 전 빠르게 정상 속도를 필요로 할 때나 앞차량을 추월 하고자 할 때 사용됩니다. 엑셀레이터 페달을 주행 중 깊게 밟으면 주행 중 RPM이 최고치로 상승하면서 기어는 4단에서 3단으로 변속되고 3단으로 주행 상태라면 2단으로 낮춰지면서 가속도가 붙게 됩니다. 또한 페달을 계속 밟으면 RPM값은 5~6000 RPM까지 상승하게 됩니다. 이와 같은 현상을 킥 다운이라 일컫습니다. 꼭 필요할 때만 사용해야 하며 자주 사용하면 변속기에 무리한 충격이 발생하고 과다 연료소모의 주범이기도 합니다.

오토시프트록 : 급출발, 급발진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 장치로 브레이크
페달을 밟아야만 P위치에서 변속기 조작레버를 움직일 수 있도록 한 보조 안전 장치.

관련글 더보기